경기 고양시는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소유권 설정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지적기준점에 레이저 기준점을 도입했다고 30일 밝혔다.
기존 지적기준점은 도로 등 지면에 매설하는 방식이어서 구조적으로 지표면 상에서 벌어지는 각종 공사 등에 취약해 지난해 경기도 내 멸실 율이 9%에 달할 정도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높은 멸실 율은 국토관리 행정의 질을 떨어트리고 경계분쟁 등 사회문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기준점 복구를 위해 매년 많은 예산이 지출됐다.
이에 시는 새로운 형태의 레이저 기준점을 연구하고 제작해 전국최초로 일산동구에 180점을 시범설치하고 오는 8월 1일부터 업무에 활용할 예정이다.
레이저 기준점은 매설방식에서 벗어나 시설물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설치, 레이저를 쏘아 측량 기준점의 위치를 등록·관리하는 방식으로 공사에 영향을 받지 않아 멸실 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 레이저 기준점에 센서를 부착해 각종 GIS 정보수집의 허브역할을 할 수 있도록 2차 고도화 작업을 진행해 시 스마트도시 서비스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레이저 기준점은 시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에 출전해 장려상을 받았으며 시의 지식재산권을 확보하기 위해 특허출원 중이다.
최충락 시 토지정보과장은 “시민들에게 양질의 토지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